중개수수료 계산기 총정리! 매매·전세·월세 얼마까지 낼까?
부동산 거래를 앞두고 “중개수수료 얼마나 내야 하지?” 고민되시죠?
매매, 전세, 월세 거래는 금액에 따라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계산기를 통해 정확하게 중개보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개수수료 계산기 사용법과
거래 유형별 수수료 요율,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중개수수료란?
중개수수료(중개보수)는 부동산 중개사가 거래를 알선해준 대가로 받는
비용입니다.
이는 공인중개사법에 따라 거래금액별로 요율과 한도액이 정해져 있어요.
2021년 10월 기준으로 법령이 개정되면서
9억 원 이하 매매 거래의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었고,
월세 거래도 산정 기준이 명확해졌습니다.
중개수수료 계산기, 어디서 사용하나요?
-
EZB 부동산 계산기 바로가기
- 최신 개정 법령 반영
- 매매, 전세, 월세 계산 가능
- 부가세 자동 반영 여부 확인 가능 -
경기도 부동산포털 계산기
-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식 계산기
- 조례 기준 반영, 신뢰도 높음 -
부동산계산기.com
- 직관적 인터페이스, 간편한 사용
- 다양한 계산기 제공 (취득세, 양도세 등)
중개수수료 요율표 요약 (2025년 기준)
매매 거래 수수료 요율
거래금액 | 상한요율 | 최대 한도액 |
---|---|---|
5천만 원 미만 | 0.6% | 25만 원 |
5천만 ~ 2억 원 | 0.5% | 80만 원 |
2억 ~ 9억 원 | 0.4% | 한도 없음 |
9억 ~ 12억 원 | 0.5% | - |
12억 ~ 15억 원 | 0.6% | - |
15억 원 초과 | 0.7% | - |
전세·월세 임대차 수수료 요율
거래금액 | 상한요율 | 최대 한도액 |
---|---|---|
5천만 원 미만 | 0.5% | 20만 원 |
5천만 ~ 1억 원 | 0.4% | 30만 원 |
1억 ~ 6억 원 | 0.3% | - |
6억 ~ 12억 원 | 0.4% | - |
12억 ~ 15억 원 | 0.5% | - |
15억 원 초과 | 0.6% | - |
월세 계산은 어떻게?
월세 거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수료 기준 금액을 계산합니다.
기준금액 = 보증금 + (월세 × 100) ※ 단, 5천만 원 미만일 경우: 월세 × 70
예시: 보증금 1,000만 원 + 월세 80만 원
→ 기준금액 = 1,000만 + (80만 × 100) = 9,100만 원
→ 적용 요율: 0.4%
→ 중개수수료 약 36.4만 원 (부가세 별도)
계산기 사용법 한눈에 보기
- 거래유형 선택: 매매 / 전세 / 월세 중 선택
- 부동산 종류 선택: 주택, 오피스텔, 상가 등
- 거래금액 입력: 계약 금액 혹은 보증금 + 월세 입력
- 요율 자동 계산: 상한요율 기준 자동 계산
- 결과 확인 및 저장: 수수료 금액 + 부가세 표시됨
중개수수료 아끼는 팁
- 중개사와 협의 가능: 상한 요율은 최대 금액이므로 협의를 통해 낮출 수 있음
- 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공인중개사 사무소’로 등록된 곳만 수수료 청구 가능
- 부가세 포함 여부 체크: 일반과세자 중개사라면 부가세 10% 별도 청구
마무리
집을 사고팔거나 전세 계약을 할 때,
몇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까지 차이 나는 중개수수료!
미리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비용을 정확히 확인하고,
협의할 수 있는 부분은 협의해서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세요.
Tags:
real estate